반응형 전체 글70 우파니샤드④ – “나는 이것도 저것도 아니다” 📕 요가 철학 시리즈 | 우파니샤드: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고요한 소리 (4편) 🕊Neti Neti – '나는 아니다'의 철학“नेति नेति”neti neti(네띠 네띠)“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다.” 우파니샤드에는 나의 본질, 아트만(Ātman)을 설명하는 독특한 방식이 있다.그것은 '무엇인지'를 말하는 대신, '무엇이 아닌지'를 하나씩 지워나가는 방식이다. 몸도 아니고, 감정도 아니고, 생각도 아니며, 기억도 아니다.'나는 이것도 아니다, 저것도 아니다'라고 하나씩 내려놓다 보면,마지막에 남는 어떤 '있는 그대로의 나'에 도달하게 된다. 이 방식은 산스크리트어 na iti — '그것이 아니다'라는 뜻을 가진 말의 반복형인 Neti Neti에서 유래한다. 이는 '나는 누구인가?'를 직접 .. 2025. 6. 11. 우파니샤드③ – 침묵은 무지인가, 깨달음인가? 📕 요가 철학 시리즈 | 우파니샤드: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고요한 소리 (3편) 🕊말하지 않는다는 것우리는 대화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설명을 통해 지식을 나눈다.하지만 어떤 순간엔, 말이 더 이상 닿지 못하는 지점이 있다. 그럴 때 우리는 침묵한다.말을 몰라서가 아니라, 말로는 더 이상 설명할 수 없어서. 우파니샤드에는 그런 침묵을 가리키는 문장이 있다.“यतो वाचो निवर्तन्ते अप्राप्य मनसा सह”yato vāco nivartante aprāpya manasā saha"(야또 바쵸 니바르딴떼 아프라피야 마나사아 사하)그곳은 말과 마음이 미치지 못하고 되돌아오는 곳이다." 이 문장은 말한다.진짜 자각은, 말이나 생각으로는 더 이상 설명할 수 없는 깊은 곳에서 문득 일어난다.. 2025. 6. 11. 우파니샤드② – 그것이 곧 나다 📕 요가 철학 시리즈 | 우파니샤드: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고요한 소리 (2편) 🕊나는 어디까지가 나일까?우리는 보통 세상과 나를 따로 있다고 생각한다.“나는 여기 있고, 세상은 저기 있다.”“저 사람은 나와 다르고, 저 별은 나와는 무관하다.” 하지만 요가 철학에서는, 아주 짧은 말 한 마디가 큰 깨달음을 품고 있다고 말한다.그중에서도 우파니샤드에는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의 삶을 바꿔온 문장이 있다.तत् त्वम् असि“Tat Tvam Asi”(타트 트밤 아시)"그것이 곧 너다." 이 문장은 단순한 철학적 말이 아니라,자기 자신과 세상이 따로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말이다.tat = 그것 (우주 전체, 자연, 삶의 근원 — 브라만이라 불림) tvam = 너 (개별적인 자아) asi = .. 2025. 6. 11. 우파니샤드① – 말도 감정도 사라진 그 자리에 남는 것 📕 요가 철학 시리즈 | 우파니샤드: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고요한 소리 (1편) 🕊나는 누구인가?이 질문은 오래된 철학자들만의 것이 아니다. 요즘처럼 바쁘고 마음이 쉽게 흔들리는 시대에도 우리는 가끔, 문득 이런 생각을 한다. “나는 왜 이렇게 불안하지?”“아무 일도 없는데도, 왜 마음이 늘 뭔가에 쫓기는 걸까?”“이 감정이 진짜 나일까?”“내가 진짜 원하는 게 뭐지?” “이런 질문들이 자주 떠오른다면, 우파니샤드가 들려주는 고요한 이야기를 들어볼 시간이다.” 이 시리즈는 바로 그런 물음을 가진 사람을 위한 것이다. 고대 인도의 철학 경전 우파니샤드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조용하지만 강하게 안내한다. 이 글은 그 물음에 다가가는 작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나는 몸이 아니다. 감정.. 2025. 6. 11. 게란다① – 수행의 시작, 전수라는 길 📕 요가 철학 시리즈 | 게란다 삼히타: 삶으로 전해지는 요가의 길 (1편) 🧘 요가, 혼자 배워도 괜찮을까? 우리는 종종 유튜브를 켜고, 책을 펼치고, 홀로 수련한다. 그러다 문득 이런 의문이 든다. “스승 없이 요가를 수련해도 정말 괜찮을까?” 게란다 삼히타는 그 질문에 오래된 방식으로 대답한다.이 고전은 요가의 시작을 이렇게 말하며 문을 연다:bahuśākhaṃ śāstram etat samāsena mayocyate | guru-vākyaṃ samāśritya yogaṃ sādhanam eva ca (1.4)(바후샤캄 샤스트람 에따뜨 사마세나 마요쥬차떼 구루 | 박얌 사마쉬리띠야 요감 사다남 에바 짜)“요가는 수많은 가지를 가진 방대한 가르침이지만,나는 그것을 간결히 전하겠다. 스승의 말에 .. 2025. 5. 30. 게란다③ – 일곱 단계, 존재를 바꾸는 여정 📕 요가 철학 시리즈 | 게란다 삼히타: 삶으로 전해지는 요가의 길 (3편) (śuddhiḥ → samādhiḥ 전체 흐름 설명, 시리즈 마지막 편) 이번 편은 게란다 삼히타에서 전수된 일곱 단계 수행법의 흐름을 따라가며, 요가가 어떻게 우리의 존재를 서서히 바꾸어 가는지를 조용히 들여다본다. 이 글은 게란다 삼히타 시리즈의 마지막 편이자, 하나의 내면 여정을 마무리하는 자리다. 요가를 막 시작했거나, 그 철학적 뿌리에 마음이 향하는 이들을 위해, 복잡하거나 낯선 용어는 최대한 덜어내고, 감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비유와 질문을 곁들여 ‘수행’이란 무엇이고, 그 길은 우리 삶을 어떻게 바꾸는지를 함께 나누어보자. 🧘 요가의 시작은 정화 (śuddhiḥ, 슛디히)게란다 삼히타에서 말하는 첫.. 2025. 5. 30.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 반응형